본문 바로가기
즐거운 바보상자

귀궁 촬영지, 요약, 명언, 명대사, 배경음악, OST

by redcrow 2025. 5. 5.

귀궁

# 귀궁 촬영지는?  하동 최참판댁, 정선 몰운대, 남원 광한루 등. 상세 내용은 아래.
# 귀궁 원작은? 원작은 없습니다.
# 귀궁의 뜻은 ? 영어 제목이 The Haunted Palace인 것을 보면 '귀신 들린 궁궐'이란 뜻의 귀궁(鬼宮)입니다.

 
"뛰어난 신기를 타고났지만 무녀가 되기를 거부하는 여인. 그러나 조선 왕실을 노리는 악귀를 물리치고, 첫사랑을 구하기 위해 자신의 능력과 다시 마주한다."
- 드라마 귀궁 소개 (넷플릭스)
 
왕에게 원한을 갖고 있는 팔척귀와 그에 맞서 싸우는 무녀 여리, 그리고 용이 되지 못한 이무기 강철의 이야기를 담은  SBS 드라마 '귀궁'의 촬영지, 명언, 명대사, 배경음악(삽입곡), OST를 알아볼게요.

 

[주의 ] 아래에는 스포일러성 내용이 많으니 주의 바랍니다~

 

[작품 정보]
- 방송 : sbs
- 스트리밍 : 웨이브, 넷플릭스
- 방송시간 : 2025년 4월 19일 첫 방송. 매주 금,토요일 오후 9시 50분
- 방송 횟수 : '귀궁' 몇부작? 16부작.
- 연출 : 윤성식, 김지연
- 극본 : 윤수정

 

 


귀궁 등장인물

 

  • 여리(김지연 분)
    유명한 만신인 넙덕의 손녀로 어릴 적 승천하는 이무기인 강철을 보았다가 승천하지 못한 강철이 악신이 되어 여리의 몸을 노립니다.
  • 윤갑(육성재 분)
    서출로 어릴적 여리와 함께 자랐습니다. 말직인 검서관이나 왕의 밀명을 받고 최원우를 만나러 왔다가 칼을 맞고 죽게 됩니다. 그 몸에 강철이 빙의하게 됩니다.
    검서관(檢書官)은 조선 후기 규장각 소속의 관원을 말합니다.
  • 강철이(김영광 분)
    연못에서 천년의 수행을 마치고 승천하려던 용이었으나 인간인 여리의 눈에 띄어 부정을 타서 다시 이무기가 되었습니다. 여리가 용이되지 못한 이무기를 몸주신으로 모시고 기도를 하늘에 올리면 다시 용이 되어 승천할 수 있다는 전설이 있어 여리를 쫓아다닙니다.
  • 이정(김지훈 분)
    개혁을 꿈꾸지만 개혁을 반대하는 신하들의 견제를 받고 있는 왕입니다.
  • 최원우(안내상 분)
    낙향한 전 좌의정으로 왕이 자신을 지지해 줄 것을 요청하기 위해 윤갑을 내려보냅니다.
  • 풍산(김상호 분)
    팔척귀를 천지장군으로 모시고 있는 판수(점치는 일을 직업으로 삼는 맹인)입니다.
  • 대비(한수연 분)
    선왕의 계비(繼妃)이고 현재 왕인 이정의 계모입니다. 자신의 아들인 영인대군을 위해 음사(陰祠, 귀신을 모시는 일)를 풍산과 함께 했지만 팔척귀를 궁에 들이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 김봉인(손병호 분)
    현 영의정이며 왕의 장인입니다.

계속 업데이트됩니다.

 

귀궁 명언/명대사

 

 

 

TMI - Too Much Information (귀궁 촬영지, 기타 정보)

 

1. 귀궁 촬영지

  • 하동 최참판댁 (드라마 토지 배경)
    귀궁 1화에서 여리가 최원우 대감에게 안경(애체)를 전달하는 정자 장면의 촬영지는 하동에 위치한 최참판댁입니다. 드라마 토지에서 최참판댁의 촬영지로 사용되어 유명해졌습니다.
  • 정선 몰운대(沒雲臺)
    귀궁 1화 마지막에서 여리가 절벽에서 떨어지는 장면에 등장하는 절벽 촬영지는 정선군 화암면에 있는 몰운대입니다. 구름이 많은 날에는 모든것이 구름에 잠긴다하여 지어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드라마 '밤에 피는 꽃'에도 등장했고 절벽장면에 자주 이용됩니다.
  • 남원 광한루
    귀궁 4화에서 왕 이정이 세자에게 글을 가리키는 정자 장면의 촬영지는 남원 광한루입니다. 앞쪽에는 광한루(廣寒樓), 안쪽에는 계관(桂觀)이라는 편액이 걸려있습니다.
    하늘나라 월궁의 옥경에 들어서면 ‘광한 청허지부’가 있다는 전설에서 '광한루'라는 이름을 가져왔고 계관은 달나라의 계수나무 신궁을 상징한다고 합니다.
  • 해남 도솔암
    귀궁 4화에서 가섭스님(이원종 분)이 머무는 절의 촬영지는 해남 도솔암입니다.
 
 

2. 귀궁 기타 정보 

  • 강철이(強鐵이)
    지나가기만 하면 초목이나 곡식이 다 말라 죽는다고 하는 전설상의 악독한 용(龍)입니다.
  • 만신(萬神)
    여자 무당을 높여 부르는 말입니다.
  • 기자(祈子)
    무당의 다른 말입니다.
  • 음사(淫祀)
    부정한 귀신에게 지내는 제사입니다.
  • 애체(靉靆)
    안경을 일컫는 말로 한자어 표기입니다.
  • 배묘(拜墓)
    조상의 산소를 찾아가서 돌보는 것을 말합니다.
  • 몸주신
    무당의 몸에 실려서 무당의 주체가 되는 신
  • 경귀석(警鬼石)
    용왕님의 돌로 귀신을 경계한다는 의미로 귀신을 물리치는 돌이라고 합니다.
  • 야지랑
    얄밉도록 능청맞고 천연스러운 태도를 말합니다.
  • 인다리
    신이 자신을 거부하는 무당에게 내리는 형벌
  • 연옥사(硏玉沙)
    수정알을 갈 때 쓰는 부드럽고 고운 모래. 안경알을 만들 때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 화경(畵境)
    무당이 눈으로 미래를 직접 보는 것
  • 수살귀(水殺鬼)
    물귀신을 말합니다.
  • 중로안경(中老眼鏡)
    오목렌즈 안경을 말합니다.
  • 원경설(遠鏡說)
    예수회 선교사 아담 샬(Adam Schall, 湯若望 탕약망, 1591-1666)이 한문으로 쓴 망원경에 관한 책을 말합니다.
  • 연경(煙鏡, 연기 연, 거울 경)
    알의 빛깔이 검거나 누런색으로 된 색안경
  • 늠료(廩料)
    조선시대 관리들의 급여. 廩(늠)에는 녹미(녹봉으로 받는 쌀)이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 명다리
    아이의 무병장수를 빌며 바치는 헝겁으로 된 공물
  • 정심신주왈(淨心神呪曰)
    마음을 깨끗하게 하는 주문으로 육주문(육계주)의 여섯 주문 중 하나입니다. 귀궁 2화에서 우물의 수살귀를 낚을 때 여리가 읇습니다.

    태상태성 응변무정 구사박매 보명호신
    太上太星 應變無停 驅邪縛魅 保命護身
    지혜명정 심신안녕 삼혼영구 백무상경
    智慧明淨 心神安寧 三魂永久 魄無喪傾
    급급여률령
    急急如律令
  • 구병시식(救病施食)
    빙의된 사람을 낫게 하고 귀신을 천도하는 불교 의식
    병을 구하고 음식을 나눠준다는 뜻으로 귀신에게 음식을 베풀어 병든 사람을 구하는 의식입니다.
    강철이 가섭스님(이원종 분)에게 구병시식으로 팔척귀를 없앨 수 있냐고 묻자 , 가섭스님은 팔척귀를 없앨 방법은 용의 여의주나, 강철같은 이무기의 야명주 뿐이라고 말합니다.
  • 골담초(骨擔草, 뼈 골, 멜 담, 풀 초)
    뼈를 책임진다는 의미로 뿌리 등은 다리가 붓는 증상이나 신경통의 한약재에 사용됩니다. 가섭스님(이원종 분)이 준 것인데 무슨 용도로 사용될까요
  • 명두(明斗)
    무당에게 신령을 비추어 주는 거울
 

귀궁 배경음악 삽입곡

 

 

귀궁 OST

드라마 귀궁의 OST를 총괄하는 음악감독은 개미(강동윤)입니다.
 

귀궁 감상

 

1. 국어인지 중국어(한문)인지 모르겠지만 단어공부 참 많이 하게 하네요. 

 
 

 

댓글